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득월액 설명 및 납부 방법 Feat. 밀린 건강 보험료 납부 방법

※ 본 글은 필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잘못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건강 보험료를 납부하는 걸 잊으면 다음과 같이 "충격적인" [압류 예고 통지서]를 받을 수 있다. 아래 사진은 공포의 압류 예고 통지서 예시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국가에서 이러한 통지서를 줄 것이라면, 자동으로 핸드폰으로 문자 고지도 같이 해주면 좋을 것 같다. 필자처럼 집에 자주 못 들어가는 경우에는 이러한 통지서 자체를 늦게 확인하여, 심각한 경우 일시적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은행에 맡긴 돈과 같은 재산이 일시적으로 압류당하는 충격적인 일이 발생할 수 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체납이 되었다는 사실을 핸드폰으로 자동으로 계속 문자를 보내도록 하여, 집에 늦게 들어가거나 깜빡 잊는 사람들을 조금 더 배려해주었으면 하는 작은 소망은 있다. 아무튼, 본 게시물에서는 이렇게 밀린(체납된) 건강 보험료를 납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필자의 경우 직장 가입자(근로 소득을 받는 일반 직장인)로 일단 들어가 있기 때문에, 당연히 회사에서 알아서 납부하고 있을 줄 알았다. 최근에 [소득월액 보험료]라는 것이 새롭게 나왔다고 한다. 필자는 이게 무엇인지도 몰랐다.

 

  하지만 충격적이게도, 찾아보니까, 근로 소득 외에도 "추가적인 소득이 많은 사람에 대하여" 소득 월액 보험료를 납부하도록 하고 있다고 한다. 필자는 근로 소득 외에도 소득이 있긴 한데(근로 소득에 비하면 적은), 이것에 대해서도 건강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는 사실은 처음 알게 되었다.

 

※ 소득월액 보험료 독촉장 ※

 

  아무튼 독촉장은 아래와 같이 우편으로도 전달되는데, 구체적으로 언제부터 얼마를 납부하지 않아서 밀렸는지에 대한 독촉 메시지가 담겨 있다. 여기에는 어디로 납부를 진행하면 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함께 담겨있다. (필자는 버는 돈에 비하여 소득세를 너무 많이 내는 것 같아서 슬프다.)

 

 

※ 소득월액 보험료란? ※

 

  소득월액 보험료란, 직장인이 월급 이외에 고액의 재산으로 이자 소득, 배당 소득, 임대 소득 등을 얻을 때 이들의 소득을 합한 종합 소득에 별도로 물리는 건강 보험료를 말한다. 직장가입자가 직장 소득을 제외하고 3,400만 원 이상의 소득이 있다면, 소득월액이 부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득월액은 현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고 한다. (이 부분은 필자도 확실하게 알고 있지는 않다.)

 

(연간 보수외 소득 - 3,400만 원(공제금액)) X 1/12) X 소득평가율

 

  일반적으로 기타 소득, 사업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고 해도, 직장인은 기본적으로 직장 가입자에 소속이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신분은 직장 가입자라서 원래는 건강 보험료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필자처럼 근로 소득을 제외한 다른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라면, 소득월액과 같은 보험료가 추가로 붙는 것이다.

 

※ 소득월액 보험료 체납된 부분을 납부하는 방법 ※

 

  국민건강보험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먼저 [로그인]을 진행한 뒤에, [보험료 조회 및 납부]를 진행하면 된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보험료 납부] 버튼을 클릭하여, 관련 페이지로 이동하면 된다.

 

  필자는 이후에 다음과 같이 [건강 보험] 부분에서 미납 내역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미납 내역을 확인한 후에는 [건강 보험]을 클릭한 뒤에 [조회]를 눌러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납부할 보험료를 확인하고, 납부를 진행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얼마를 매 달마다 제출하도록 명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밀린 건강보험을 전액 상환하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이 [납부 방법]으로 [가상 계좌 발급 신청] 버튼을 클릭하여 납부를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납부 보험료 정보] 탭에서 구체적인 납부 금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험료 납부] 버튼을 클릭하여 납부를 진행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보험료 납부]를 완료하면, 다음과 같이 "국민 건강 보험 공단"에서 입금 확인 사실을 전달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