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 서버 재시작(재부팅)을 하는 경우 ※
간혹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서버, 예를 들어 우분투(Ubuntu) 서버가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거나, 과열되거나, 드라이버를 재설치했거나, 갑자기 느려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서버 재부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서버의 경우 항상 돌아가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서버를 재부팅해야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필자의 경우 하나의 GPU 서버에서 여러 명이 함께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GPU 서버에서 어떠한 일이 벌어질 지 모른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사용자가 GPU를 사용하다가,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고 GPU만 잡아 놓고 있을 수도 있다. 그래서 특정한 주기로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재부팅하고 서버가 쉬도록 해주는 것도 중요할 수 있다.
※ 우분투(Ubuntu) 운영체제 재부팅 방법 ※
우분투(Ubuntu) 운영체제에서 재부팅을 진행해 보자. 다만, 우분투(Ubuntu)에서 시스템을 재시작(reboot)하기 위해서는 루트(root) 권한이 필요할 수 있다.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간단한 방법은 reboot 혹은 shutdown을 사용하는 것이다. 필자는 reboot 명령을 사용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shutdown -r now" 라고 입력하면, 현재 바로 재시작을 진행할 수 있다. 실질적인 기능은 거의 유사하다.
reboot
참고로 f 옵션을 넣어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시스템을 강제로 재부팅한다. 강제 재부팅은 권장하지 않는다. 라고 하면, 시스템을 강제로 재부팅한다. (권장하지 않는다.)
reboot -f
하지만 다음과 같이 reboot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해당 서버의 다른 사용자가 해당 서버에 접속(log in)한 상태라면, 다음과 같이 다른 사용자 또한 SSH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접속한 상태이므로, 해당 서버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들에 대하여 연결이 끊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의 GPU 서버의 경우에는 reboot 명령을 수행한 뒤에, 약 3분 정도 뒤에 재부팅이 완료되어서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