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깃허브(GitHub)에서 새로운 조직(Organization) 생성 및 비공개로 프로젝트 구성하는 방법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특정한 팀(team)에 속할 때, 조직(organization)을 생성하여 만들어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회사에 속하거나, 특정한 팀에 속하여 깃허브(GitHub)에 회원 가입 및 로그인한 뒤에, 다음과 같이 프로필을 클릭하고, [New organization]을 선택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무료 버전으로 조직(organization) 하나를 생성했다. 다음과 같이 [Create a free organization] 버튼을 클릭하여 시작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조직(organization) 계정 이름을 설정하고, 연락처 이메일(contact email) 기재를 마친 뒤에, 해당 조직(organization)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본인의 계정에 대하여 해당 GitHub 조직이 소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기본적으로 해당 조직(organization)에 다양한 구성원(member)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이메일 혹은 GitHub 계정에 대하여 필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일단 건너뛰기"를 진행한다. [Skip this step]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GitHub 조직을 만들고 나면, 다음과 같은 초기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저장소(repository)]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저장소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 GitHub 조직(Organization)에서 저장소(Repository) 생성하기 ※

 

  이후에 다음과 같이 GitHub의 특정 조직 안에서 저장소(repository) 생성을 진행한 뒤에, 여기에서 코드를 작성하는 등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비공개(private)로 설정하게 되면, 해당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제한되며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Repositories] 탭에서 저장소(repository)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Invite your first member] 버튼을 클릭하여, 실질적으로 필자는 같이 공부하는 팀 멤버를 추가하였다.

 

 

  다음과 같이 [Invite member] 버튼을 클릭하여 멤버를 추가할 수 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People] 탭으로 이동한 뒤에, 구성원(member) 체크를 클릭한 뒤에, 해당 사람에게 [Send invitation] 버튼을 눌러 멤버를 초대할 수 있다. 참고로 멤버를 추가한 뒤에는, 이때 슬랙(slack)과 같은 팀(사내) 메신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여러 명의 사람에 대하여 초대를 보냈고, 이러한 초대(invitation)은 해당 사람이 초대를 수락하여 해당 멤버가 조직(organization)에 추가된 경우 해당 초대장이 사라지게 된다.

 

 

  다음과 같이 저장소(repository) 탭에서 다음과 같이 저장소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