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케이뱅크(K-Bank) 입출금 통장 개설, 체크 카드 만드는 방법 및 후기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기본적으로 케이 뱅크를 통해 (1) 대출을 받고, 그리고 업비트와 같은 (2) 코인 거래소를 이용하기 위해 케이 뱅크 입출금 통장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필자도 마찬가지로 입출금 통장을 개설하고, 체크 카드도 만들어 보았다.

 

※ 입출금 통장 개설 ※

 

  가장 최근에는 필자의 경우 케이뱅크에서 대출을 받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였다. 다만,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입출금 통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해서 입출금 통장을 개설하게 되었다. 필자가 알기로는 케이뱅크 통장이 있으면, 코인 거래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입출금 통장은 어차피 하나 필요할 거라고 생각해서, 만들기로 하였다.

 

  케이 뱅크 앱을 실행한 뒤에, 다음과 같이 "입출금 통장" 개설을 위한 페이지에 접속한다. 필자의 경우 가장 먼저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뒤에 약관에 동의했다.

 

 

  입출금 통장을 개설한 뒤에는 우편물(카드 등)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본인의 주소를 입력하고, 우편물 수령지를 기입한다. 이후에 통장 개설 목적을 기입한다. 사실 이 부분에 어떤 것을 넣어도 큰 상관은 없는 것 같은데, 필자의 경우 "대출 관련 거래"를 선택하였고, 자금 출처(소득원)으로는 근로 소득을 선택했다.

 

 

  이후에 약관을 확인한다. 필자의 경우 "필수 항목"에 대해서만 동의를 했고, 오픈 뱅킹을 사용했다. 그리고 입출금 통장에 대한 내용이 요약되어 담겨 있는 상품 설명서 내용을 확인한 뒤에 [확인] 버튼을 눌렀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본인이 사용할 "계좌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에, 본인 인증을 진행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항목을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1) 신분증

  2) 가지고 있는 다른 계좌를 이용한 본인 인증

 

 

  필자는 결과적으로 본인 인증을 완료한 뒤에, "체크 카드"를 만들었다. 이것은 등기 우편을 통해 전달되는데, 2~3일 정도 걸렸던 것 같다. 하지만 체크 카드 실물이 없어도 사실 문제가 없다. 왜냐하면 삼성 페이는 바로 등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실제로 카드가 없어도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에서 삼성 페이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면, 휴대폰으로도 간단히 결제가 가능하다.

 

 

  이후에 필자는 카드 신청을 했다. 카드 신청에 동의를 진행했고, 필자의 경우 "카드 배송지"를 집으로 설정했다. 이후에 "카드 수령인"으로 본인을 선택했다.

 

 

  결과적으로 카드 신청이 완료되었다. 필자는 이제 (1) 입출금 통장과 (2) 체크 카드 모두를 가지게 되었으므로, 케이뱅크 통장을 기본적인 통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시간이 지난 뒤에 카드 실물까지 우편을 통해 발급 받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