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슬랙(slack)은 특정한 회사 혹은 팀 단위로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다. 팀 내에서 여러 개의 채널을 나누어서 원하는 목적에 맞게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흔히 말 하는 "사내 메신저"로 사용하기 적합한 서비스로 이해할 수 있다. 카카오톡의 경우, 단순히 위에서 아래로 메시지를 읽어야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슬랙은 특정한 글에 대하여 댓글을 달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 슬랙(slack) 웹 사이트: https://slack.com/
Slack은 생산성 플랫폼입니다
Slack은 팀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입니다. 이메일보다 빠르고, 더 조직적이며, 훨씬 안전합니다.
slack.com
※ 슬랙(slack) 회원가입 및 로그인 ※
슬랙 공식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학교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했다.
※ 슬랙(Slack)에서 워크스페이스 만들기 ※
워크스페이스란 말 그대로 하나의 프로젝트(팀 혹은 회사)의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참고로 로그인을 위해서는 이메일로 로그인 코드가 전송되고, 해당 "로그인 코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필수 항목에 체크한 뒤에, [워크스페이스 생성] 버튼을 눌렀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회사" 혹은 "팀"에 대한 이름을 넣을 수 있다.
이후에 다음과 같이 해당 팀(team)에 대한 설명을 넣는다.
워크스페이스(workspace)를 만든 뒤에, 다음과 같이 [공유 가능한 초대 링크 열기]를 클릭하여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든 링크에 대하여 [링크 축소]를 하여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후에 "이 단계 건너뛰기"를 클릭하여 진행할 수 있다.
참고로 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슬랙(slack)에 참여할 수 있는 초대 링크(shared link)에 대하여 [링크 단축]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복사] 버튼을 눌러서 복사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URL 링크 단축 서비스"를 사용하면 된다.
그렇게 링크에 대한 정보를 얻은 뒤에, 팀원들에게 공개하면 된다. 이후에 [이 단계 건너뛰기]를 클릭하여 다음과 같이 초대하지 않고 건너뛰면 된다.
이후에 필자는 무료 버전으로 진행했다.
※ 슬랙(Slack)에서 채널(channel) 생성하기 ※
워크스페이스가 생성되면, 다음과 같이 [채널 추가] 버튼을 눌러서 워크스페이스에 채널을 추가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질문방"이라는 이름으로 채널(channel)을 하나 생성했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워크스페이스에서 모든 사람에 대하여 "공개"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채널을 [생성]을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자를 채널에 바로 추가할 수 있는데, 필자의 경우 다음과 같이 "워크스페이스"에 대하여 참여하는 모든 사람을 자동으로 추가하도록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이 사람들이 초대하면, 다음과 같이 접속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랜덤(random) 채널에서 다양한 랜덤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워크스페이스에 가입한 모든 사람에 대하여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남기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