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금반지(커플링) 맞추는 방법 및 금반지 맞출 때 고려할 사항 총 정리

※ 이 글은 필자가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한 글이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본 게시글은 2022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금반지 맞추는 방법 ※

 

  금반지는 일반적으로 커플들이 많이 맞춘다. 브랜드 커플링을 구매하거나, [종로 3가 귀금속 거리]를 방문하거나, 동네 금은방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만약에 단순한 형태의 링 반지에 금 함유량을 최대한 높이고 싶다면, 금은방을 돌아다니면서 발품을 파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수 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하기 위하여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본다는 의미다.) 굳이 화려한 반지가 아니라 심플한 금반지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들도 있는데, 이럴 때는 금 함유량을 높이는 게 좋은 방향일 수 있다.

 

※ 금 시세 검색 ※

 

  금 시세를 검색할 때는 네이버나 [차칸그믄빵] 앱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차칸그믄빵] 앱에서는 종로에 존재하는 다양한 금은방(귀금속상가) 정보를 보여준다. 그래서 다양한 금은방을 돌면서 가격을 비교한 뒤에 그 정보를 앱에 기록해 놓았다가 최종적으로 구매하면 된다. [차칸그믄빵] 앱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필자가 이 앱을 실행했을 때는 금의 시세가 아래와 같았다.)

 

 

▶ 금 시세 네이버 검색https://finance.naver.com/marketindex/goldDetail.nhn

 

  다음과 같이 금 한 돈의 가격이 출력된다. [신한은행]에서 고시한 가격을 기준으로 2022년 02월 25일에는 한 돈(3.75g)이 277,900원 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금의 시세는 하루마다 계속 바뀌기 때문에, 반지를 맞추는 시점에서의 금 시세를 정확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

 

 

※ 금반지 비용 ※

 

  금반지를 구매할 때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우선순위를 갖는다. 금반지의 가격에는 ① 금값 ② 보석값 (필요하면) ③ 세공비가 포함된다. 금값이나 보석값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것이지만, 세공비는 금은방마다 다르게 측정한다.

 

  세공비의 경우 당연히 복잡한 모양의 반지를 만든다면 추가적으로 비싸질 수 있는데, 단순한 금반지에 각인으로 이름만 새기는 경우에는 반지 2개 합쳐서 5만 원 정도에 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세공비가 15만 원~20만 원을 넘어가는 경우에는 세공비가 너무 비싸다고 말하여 깎는 것이 좋다.


  애초에 금반지는 한 번 맞춘 뒤에 하루종일 착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 번 맞출 때 제대로 맞출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금은방은 여러 곳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여러 곳을 방문해보자. 구매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다른 곳에도 가볼 수 있으므로, 금은방에서 제안한 가격에서 2~3만 원 저렴한 가격으로 더 깎아 달라고 시도해 보는 것도 좋다. 또한 금의 현물을 구매할 때는 기본적으로 부가세가 붙기 때문에, 현금으로 구매하면 저렴하게 해주겠다고 말씀하시는 금은방 사장님도 많다고 한다.

 

※ 금 실 중량 ※

 

  금을 구매할 때는 금의 실중량을 확실히 확인하기 위하여 [보증서]도 같이 받아주면 된다. 또한 실제로 반지는 손가락 크기(호수)에 맞게 만든다. 그래서 금반지를 만들어 본 결과 금이 덜 들어갔다면 돈을 돌려주고, 금이 더 들어갔다면 일부 추가 결제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지 두 개를 합쳐서 2.08돈으로 맞추었는데, 실제로 출고된 금반지의 실중량이 2돈이 안 된다면, 보증서를 잘 확인하여 돈(차액)을 돌려받아야 한다.

 

※ 금은방 예약 ※

  금은방에 방문할 때는 미리 여러 곳에 전화(예약)를 하고 가면 된다. 특히 종로에서 맞추는 경우에는 예약이 필수인 금은방이 많아서, 가능하면 날짜를 맞춘 뒤에 미리 예약을 진행하도록 하자. (심지어 손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예약을 하지 않았으면 손님을 안 받는 경우도 있다.)

 

※ 고려할 요소 정리 ※

 

  금반지를 맞출 때 고려할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금반지 디자인: 보석을 넣을지 말지, 꼬임이 있는 반지로 할지, 두꺼운 형태로 할지 등 반지의 디자인을 고려한다.
  ▶ 금반지 색상: 로즈골드, 화이트골드 등 반지의 색상을 고려한다.
  ▶ 금 종류: 14k, 18k, 24k 등 (24k의 경우 너무 밝고, 무른 편이라서 보통 선택을 안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18k의 경우 75%의 금이 들어 있다.

  ▶ 안쪽 메움 여부: 메움 처리가 안 된 반지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비어있는 공간에 로션이나 땀이 고여서 불편할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안쪽(속) 메움 처리가 된 반지를 맞추는 것을 선호한다고 한다.

  ▶ 가격 상한선: 금반지를 맞추기 전에 가격 상한선을 정해 놓고 가는 것이 좋다.

  ▶ 반지 크기: 금은방에 도착해서 다양한 반지를 끼워 보고 자신의 호수를 찾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