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 용량 정리 및 속도 빠르게 하기 (삼성 스마트 폰)

※ 본 글은 필자의 경험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잘못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필자는 삼성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을 구매해서 4년간 사용했다. 스마트 폰을 바꾸어야 하는데, 귀찮아서 계속 안 바꾸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 스마트 폰의 용량이 매우 부족하고, 속도도 느린 상태다. 일단 스마트 폰을 바꾸기 전까지 지금 것을 이용해야만 한다. 그래서 본 포스팅에서는 스마트 폰의 용량을 정리하고 속도를 빠르게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 임시적으로 속도 빠르게 하기 ※


  기본적으로 스마트 폰을 오래 켜 둔 상태라면, 최근 작업 목록을 한 번 정리해 두자. 일반적으로 삼성 안드로이드 폰은 버튼이 3개 있는데, 홈 버튼(중간), 백 버튼(오른쪽), Overview 버튼(왼쪽)이 있다. Overview 버튼 누르면 Overview 화면 (최근 화면, 최근 사용 화면, 최근 작업 목록)이 등장한다. 여기에는 최근에 열었던 앱들이 나열되는데, 여기에서 현재 사용하지 않는 작업(task)는 옆으로 넘기기(swipe)하여 작업을 삭제하면 된다. 그러며 임시적으로 스마트 폰 속도가 빨라진다.

  이어서 [설정] - [디바이스 관리] - [최적화] 버튼을 눌러서 임시적으로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최적화] 기능은 보조 기억 장치(RAM)를 정리하여 메모리를 확보하며, 스마트 폰의 저장공간을 일부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함께 수행해준다.

 

 

  이후에 애니메이션 설정도 건드리면 유용하다. 사소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애니메이션을 끄는 것 만으로도 스마트 폰의 동작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기도 한다.

 

  ▶ [설정] - [개발자 옵션] - [창 애니메이션 배율] - [애니메이션 끄기]
  ▶ [설정] - [개발자 옵션] - [전환 효과 애니메이션 배율] - [애니메이션 끄기]
  ▶ [설정] - [개발자 옵션] - [Animator 길이 배율] - [애니메이션 끄기]

 

 

 

※ 파일(사진, 동영상) 정리하기 ※

 

  용량이 많이 부족하면 스마트 폰의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실제로 컴퓨터에서 가상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전체 용량의 10% 정도는 비워 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의 용량이 총 32GB라면, 최소한 3GB 정도는 비워 놓도록 하자. 단순히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는 이점을 넘어서, 실제로 스마트 폰의 동작 속도가 빨라진다.


  가장 먼저 [내 파일] - [설정] - [저장공간 확보] 버튼을 눌러서, 중복된 파일이 있거나 사용하지 않는 파일이 있다면 삭제할 수 있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삭제할 것들을 다 삭제했는데도, 용량이 300MB만 남은 절망적인 상황이다. 이 상황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을까? 그냥 스마트 폰을 바꾸면 될까? 하지만 그것은 너무 귀찮은 것이다.

 

 

  이어서 유사한 기능으로, [설정] - [디바이스 관리] - [저장공간] 탭으로 들어가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공간]에서 [이미지]를 클릭한 뒤에, 내장 메모리에 있는 이미지들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필자의 스마트 폰에서는 SD 카드로 옮기는 기능은 없어 보였다.

 

 

  또한 [설정] - [애플리케이션]에 들어가서, 안 쓰는 앱들은 지우도록 하자. 필자는 쇼핑몰 앱을 포함해 안 쓰는 앱들을 모두 제거했다.

 

 

  그리고 내장 메모리에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삭제하거나, SD 카드로 옮기는 방법으로 용량을 확충할 수 있다. 참고로 내장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는 [내 파일] - [내장 메모리]로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 동영상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공간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그래서 아래 폴더들도 하나씩 확인해 보며 SD 카드로 옮겨주거나 필요 없는 것은 삭제하도록 하자. 참고로 DCIM은 Digital Camera IMages의 약자로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폰에서 일종의 표준처럼 자주 사용되는 용어다.

 

  ▶ [내 파일] - [내장 메모리] - [Download]

  ▶ [내 파일] - [내장 메모리] - [Pictures]

  ▶ [내 파일] - [내장 메모리] - [DCIM]

 

  SD 카드로 옮기는 것은 간단하다. 꾹 누른 뒤에 [이동] - [SD 카드]를 선택해 폴더 전체를 옮길 수도 있다.

 

 

※ 멜론 임시 데이터 삭제 ※

 

  멜론 앱으로 음악을 듣는 사람이라면, 임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삭제해 주면 많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멜론(Melon) 앱을 실행한 뒤에 [설정] - [캐시 관리 및 용량 확인] - [이미지 임시 파일] 및 [음원 임시 파일]에 대하여 [삭제]를 진행하면 된다.

 

 

  추가적으로 멜론 앱 아이콘을 꾹 누르고 [애플리케이션 정보] - [저장공간] - [캐시 삭제]를 진행하 수 있다.

 

 

  참고로 [캐시 삭제]와 함께 [데이터 삭제] 버튼도 있는데, 데이터를 삭제하는 경우 관련 주요 파일, 계정 정보와 설정 정보를 포함한 핵심적인 데이터가 함께 삭제되므로, 데이터를 지우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심한 경우 멜론에서 캐시 데이터 삭제만으로도 몇 백 MB를 벌 수 있다. 참고로 [내 파일] - [내장 메모리] - [melon] - [mcache]은 멜론 캐시가 담기는 폴더이기도 하므로, 여기도 확인해서 데이터를 지울 수 있다.

 

※ 카카오톡 정리 ※


  많은 경우 카카오톡 앱의 데이터를 정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일단 가장 먼저 카카오톡 앱 아이콘을 꾹 누르고 [애플리케이션 정보] - [저장공간] - [캐시 삭제]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캐시 삭제만으로도 몇십 MB를 벌 수 있다. 참고로 카카오톡 [데이터 삭제]를 하게 되면 굉장히 많은 공간을 벌 수 있는 대신에, 지금껏 나누었던 카카오톡 대화 내용이 모두 사라지므로, 추천하지 않는다. 필자의 경우 오래된 스마트 폰에 카카오톡 미디어 데이터만 거의 10GB에 육박했다.

 

 

  또한 카카오톡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캐시 데이터 삭제 기능을 사용하면 좋다. 카카오톡 앱을 실행한 뒤에 [설정] - [기타] - [저장공간 관리] - [캐시 데이터 삭제]를 이용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방법으로도 20MB 정도의 용량을 확보했다.

 

 

  개인적으로 카카오톡 채팅방을 정리하는 것이 굉장히 많은 용량을 확보해 주었다. 카카오톡을 몇 년 동안 사용한 스마트 폰이라면, 꼭 채팅방 정리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

 

  정말 다행히도 최근 카카오톡은 [채팅방]마다 [채팅방 용량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체 파일 모두 삭제]를 하면 해당 채팅방에서 주고 받은 사진, 동영상, 음성 파일이 모두 기기에서 삭제된다. 필자는 그래서 대화 내용을 지워도 되는 단톡방마다 주기적으로 [전체 파일 모두 삭제] 기능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주기로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단톡방마다 [전체 파일 모두 삭제] 기능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도 500MB 이상의 용량을 확보하곤 한다.

 

 

  물론 이 기능을 이용해도 채팅 메시지는 삭제되지 않기 때문에, 채팅 메시지 자체가 매우 매우 많아서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라면 채팅방에서 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필자의 경우 다양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저장 목적으로 [나에게 보내기]하고 있는데, 채팅방에 매우 많은 사진과 동영상이 쌓여 있었다. 이를 제거하니까 1GB 이상의 용량이 확보되었다. 사진 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삭제했는데, 채팅방에 존재하는 메시지와 링크들은 제거되지 않아서 매우 만족스러웠다.

 

  아래 사진을 보면 내장 메모리에 1.8GB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었다. 아직 더 많은 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아무튼 카카오톡 채팅방 정리만으로도 매우 많은 공간이 확보되어 다행이다.

 

 

※ 기타 애플리케이션 ※

  인스타그램도 마찬가지로 앱 아이콘을 꾹 누르고 [애플리케이션 정보] - [저장공간] - [캐시 삭제] 데이터 못지 않게 많은 양의 캐시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로 필자가 캐시를 지웠을 때, 캐시를 지우더라도 [임시 저장 피드]와 같은 사진 데이터가 삭제되지는 않았다. 넷플릭스, 페북, 유튜브 등 자주 사용하는 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캐시 삭제를 진행하도록 하자.

 

 

  그리고 Teams, Slack과 같은 업무 관련 앱에 대해서도 더 이상 업무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폐기된 미디어 파일이 있다면, 스마트 폰에서도 제거하여 용량을 확보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