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84)
케이뱅크 주택(아파트) 담보 대출 온라인 신청 및 대출 심사 후기 - 은행 방문 없이 모바일로 전부 해 본 후기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23년 초를 기준으로 작성된 글이므로, 현재를 기준으로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필자는 케이뱅크에서 대출을 받고자 했던 경험이 있다. 케이뱅크의 경우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직접 은행 창구에 방문하지 않아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출 신청 및 심사 과정을 간단히 기록하였다. 필자의 경우 케이 뱅크에서 대출 신청을 하고, 심사 결과까지 확인할 수 있었는데, 내용을 전체 사진과 함께 정리해 보았다. 케이뱅크(K Bank)를 설치한 뒤에, 다음과 같이 "아파트 담보 대출"을 클릭하여 [조회하기]를 눌러 진행할 수 있다. 필자는 다음과 같이 [케이..
토스(Toss) 주택 담보 대출 알아보고, 온라인으로 대출 한도 확인 및 신청한 후기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23년 초를 기준으로 작성된 글이므로, 현재를 기준으로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필자는 토스(Toss)를 통해 대출을 받아보고자 했다. 실제로 주택 담보 대출이 필요한 상황이라서, 토스를 통해서 다양한 대출을 조회하고 비교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보인다. 토스(Toss) 앱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출] 탭을 제공하고 있다. 대출 탭으로 이동하면, 다양한 대출을 찾아 보고, 대출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필자는 여러 앱을 사용해 보았지만, 기본적으로 토스에서는 여러 개의 금융사 정보를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은행에서의 금리를 비교해 준 뒤에, 내 상황에..
정부24 회원가입, 로그인 및 주민 등록 초본 발급받는 방법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정부24에서 회원가입, 로그인을 진행한 뒤에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주민 등록 초본, 주민 등록 등본 발급 등 원하는 민원 처리가 가능하다. 필자의 경우 정부24 웹 사이트를 자주 이용하며, 아주 간단하게 온라인으로 주민등록초본을 발급받은 적이 있다. 필자는 정부24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가능하면 회원가입을 진행한 뒤에 로그인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정부24 웹 사이트에 접속한 뒤에는 가장 먼저 "회원가입" 버튼을 눌러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 정부24 웹 사이트 링크: https://www.gov.kr/ 이후에 가입자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개인이므로,..
티스토리(Tistory) 400 Bad Request 오류 해결 방법 - 모든 사이트 쿠키 삭제하지 않아도 해결 가능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필자는 최근에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에서 "글쓰기"를 진행하는 도중에, 다음과 같이 "400 Bad Request" 오류 메시지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류 메시지에서부터 그 원인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오류 메시지 내용: "Size of a request header field exceeds server limit." 이 문제는 여러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를 운영하는 여러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인데,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방문 쿠키가 너무 많이 쌓이면, 해당 방문 기록으로 인..
NewFileTime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폴더 및 파일의 생성 날짜, 수정 날짜 변경하는 방법!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가끔 어떠한 파일 혹은 폴더에 대하여 (1) 생성 날짜와 (2) 최종 수정 날짜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바로 NewFileTime이다. 프로그램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새로운 파일 시각(new file time)을 설정할 수 있다. ▶ NewFileTime 다운로드: http://www.softwareok.com/?Download=NewFileTime 해당 프로그램은 Software OK라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일단 필자는 위 링크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진행했다. 웹 사이트가 조금 의심스럽게(?) 생기긴 했지만, 일단 이 파일..
디퓨저 사용 후기 Feat. 코코도르 퓨어 코튼 디퓨저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필자의 경우 집에 퀘퀘한 냄새가 나는 것 같아서 디퓨저(방향제)를 한 번 구매하여 설치해 보고자 했다. 디퓨저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확산 현상을 이용하는 방향제의 종류이자, 보통 예쁜 병으로 데코레이션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도가 높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코코도르 회사의 "퓨어 코튼"이라는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해 보았다. 실제로 사용해 보니, 냄새가 나쁘지 않은 것 같아서, 이것을 열어서 집 안방 장롱 근처(화장대), 부엌 근처, 거실에 하나를 두었다. 개인적으로 디퓨저는 한 번 설치하면 1~2년 정도는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디퓨저를 개봉한 뒤에 2년 정도 ..
전세 계약 잔금일에 해야 할 일 총 정리 - 임차인 및 임대인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전세 계약을 진행할 때, 대체로 부동산 공인중개사 분께서 알아서 잘 알려주시지만, 전반적으로 계약 당사자 (임대인 및 임차인)가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임차인과 임대인의 입장에서 기억해야 할 항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임차인의 경우 ※ 1. 등기부 등본 확인 일반적으로 ① 근저당권이 없는(대출이 없는) 집에 대하여 전세 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혹은 ② 근저당권이 있다면, 특약으로 말소 조건으로 전세 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다. 만약에, 계약 당시에는 근저당권이 없었는데, 갑자기 근저당권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문제가 심해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잔금일(입주일)에 전입 신고..
네이버 지도에서 음식점 검색하고 예약하는 방법 및 후기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다른 사람과 식사 약속이 잡히면 네이버 지도에 접속하여 음식점을 검색하고, 원하는 날짜로 사전 예약할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필자의 경우 네이버 지도를 자주 이용하는데, 네이버 계정만 있으면 간단히 음식점 검색 및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필자의 경우 "군산"에 갈 일이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군산 음식점"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진행했다. 네이버 지도에 접속한 뒤에, 다음과 같이 음식점을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다. 참고로 핸드폰(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검색해도 동일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지도에 접속한 뒤에, 다음과 같이 원하는 식당을 검색한 뒤에 [예약]을 클릭하면 된다. 필자는 쉐..
이미지넷(ImageNet) 학습 및 검증 데이터 세트를 불러온 뒤에, 변형하여 원하는 개수 및 크기로 저장하는 방법 (간단 정리)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image) 분야의 딥러닝에서는 이미지넷(ImageNet) 1k 데이터 세트가 매우 많이 사용된다. 이 데이터 세트는 흔히 ILSVRC 2012 데이터세트라고도 하는데, 이 데이터 세트에는 약 1,200,000개의 학습 이미지(데이터) 포함되어 있으며, 검증(validation) 이미지(데이터)는 50,000개이다. 그리고 ImageNet-1k라는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클래스(class)의 개수는 총 1,000개다. ImageNet-1k 데이터 세트는 흔히 특정한 이미지 분류 모델의 성능(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미지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작업에서 거의 빠지..
이사 후에 온라인으로 간단히 전입 신고 하는 방법 및 후기 Feat. 정부24 ※ 본 게시글은 필자의 개인 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가는 경우(전입을 하는 경우) 우리는 전입 신고를 해야 한다. 이것은 내가 특정한 집으로 이사를 갔으니, 해당 지역 소속으로 다양한 행정 처리를 받겠다는 것을 국가(정부)에 알리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즘에는 전입 신고를 온라인으로 매우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필자가 알기로는 특정한 집으로 이사를 가면(전입을 하면) 아무리 늦어도 14일 이내에는 전입 신고를 진행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전입 신고를 하면 관할 기관(내가 이사를 간 곳의 행정 기관)에 자동으로 데이터를 넘겨서 처리해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예를 들어 과천으로 이사를 간 뒤에, "전입 신고"를 진행..